LINUX

파일 관리 명령어(file, touch, clear)
  • 조회수 9,057
  • 작성일 2008-07-28
  •  
7. file
(1) 설명: 파일의 종류를 알아보는 명령어. 도스에서는 보통 파일의 종류를 확장자로 구분하지만
          유닉스에서는 파일 이름에 아무 제한이 없으므로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알 수 있다.
(2) 사용법
    file file(s)
(3) 사용예
    file *
(4) 참고: 관련파일
    file은 파일에 대한 정보를 얻기위해 /usr/share/magic 이라는 파일을 참조한다.

8. touch

(1) 설명: 파일의 크기가 0인 빈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로 파일의 최종 접근시간을 바꿀 수 있는
          명령이다.
(2) 사용법
    touch [option] 파일명
(3) option
   -d : 접근 시간을 변경한다.
   -m : 수정 시간을 변경한다.
   -t 타임스탬프 : 현재 시간 대신 [[CC]YY]MMDDhhmm[.ss]형식으로 지정된 타임스탬프를 이용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예를 들어, 2001년 1월 12일 오후6시45분은 200101121845로 나타낸다. 리눅스배포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판에 따라 타임스탬프형식이 MMDDhhmm[[CC]YY][.ss]로 다를수도 있으니 man 명령으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로 확인해야 한다.
(4) 사용예
   1) [posein@www posein]$ touch a.txt
       => 현재 디렉토리에 a.txt라는 파일이 존재하면 파일의 접근시간을 바꾸고 파일이 없을 경우
         에는 a.txt라는 파일의 크기가 0인 빈파일을 생성한다.
         생성파일이다.
   2) [root@int03 root]# touch -t 04011330 /etc/passwd
      [root@int03 root]# ls -l /etc/passwd
      -rw-r--r--    1 root     root         2655  4월  1 13:30 /etc/passwd
        => /etc/passwd 파일의 접근시간을 바꾼다.
(5) 쓰임 : 주로 설정파일을 만들어야 할때 사용되는데 없으면 안되고, 내용을 적을 것이 없는
          경우나 현재 디렉토리에 쓰기가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쓰인다.

9. clear

(1) 설명: 화면을 지워서 첫줄에 프롬프트가 나타나도록 한다.
(2) 사용법
   clear

(참고)
리눅스를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mc라고 타이프 해보자.사용법은 노턴커맨드나 Mdir
과 비슷하다. 모르는 명령어가 있다면 'man 명령어'나 '명령어 --help'하면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
나올 것이다. 단지 흠이라면 대부분 영어로 나온다.
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출처 : 대전국제IT교육센터 정성재 강사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